×

정책제안

4. 자유주제 - 청소년 일상 속 아이디어 청소년 지역 맞춤 소비 지원 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문*송
댓글 0건 조회 77회

본문

제안자 문*송님
제안제목 청소년 지역 맞춤 소비 지원 정책
분류 4. 자유주제 - 청소년 일상 속 아이디어
제안이유 청소년들의 지역화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내용 제안 배경
첫째, 현재 청소년들은 소비쿠폰이나 지역화폐를 지급받더라도 본래 목적의 사용처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역화폐는 지역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골목 상권을 살리는 중요한 정책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은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사용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청소년들의 소비는 자연스럽게 접근성이 높은 대형 프랜차이즈에 집중되고 있으며, 정작 정책의 본래 목적이었던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는 충분히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현상은 청소년들이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기르는 데에도 한계를 만들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이 지역 상권을 자연스럽게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올바른 소비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청소년 대상 금융·소비 교육은 주로 이론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교실에서 이뤄지는 단순한 강의식 교육이나 교재 위주의 학습은 실제 생활 속 소비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청소년들이 소비쿠폰이나 지역화폐를 활용하는 실제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체감하지 못한 채, 단순히 지식 전달에 그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청소년은 정책을 활용하면서 스스로 올바른 소비 습관을 실천할 기회를 충분히 누리지 못한다. 따라서 청소년이 직접 경험하고 참여하면서 소비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 실제 소비 활동을 긴밀히 연결해 주는 정책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은 지역사회의 중요한 소비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지역경제 정책에서 청소년 참여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지역화폐 정책이나 소비 촉진 프로그램은 성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청소년은 보조적인 참여자로만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 청소년은 학교 생활이나 여가 활동 속에서 꾸준히 소비 활동을 하고 있으며, 편의점·카페·학용품점 등 다양한 소비처에서 중요한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정책 설계가 부족하다 보니, 정책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 정책적 장치가 필요하며, 이는 청소년이 지역경제의 일원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제안 내용
1. 지역 소비 추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지자체 공식 앱이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육 플랫폼에 AI 기반 추천 기능을 탑재하여, 청소년이 지역 상점 중 대체 가능한 소비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청소년이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를 자주 이용한다면, 동일한 메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카페를 자동으로 추천해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지역 상권을 경험하게 되고, 기존에 몰랐던 다양한 상점을 탐방하는 기회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형 프랜차이즈에 집중되던 소비가 지역 상점으로 분산되면서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청소년 참여형 지역 상권 캠페인을 실시해야 한다.
단순히 소비처를 안내받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청소년 스스로 지역 상권을 탐방하고 홍보하는 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청소년이 직접 만든 지역 추천 가게 지도’, ‘지역 상점 리뷰 공모전’, ‘우리 동네 가게 체험단’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청소년은 소비자이자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청소년이 지역 상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애정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며, 지역 소상공인에게는 새로운 홍보 효과를 제공한다.

3. 학교와 지자체의 연계를 강화해야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내용과 교내의 금융·경제 교육을 연계해 청소년들이 더 나은 소비 선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지자체는 지역화폐 사용처를 확대하고 청소년 맞춤형 상점 정보를 제공해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기대 효과
위와 같은 정책이 실현된다면, 청소년은 단순히 돈을 쓰는 소비자가 아니라 합리적이고 책임 있는 소비 습관을 가진 지역사회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상권은 청소년 고객층 확대를 통해 새로운 매출원을 확보하게 되고, 청소년이 작성한 리뷰와 참여형 활동은 홍보 효과까지 더해져 매출 증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역 사회 전체는 청소년 소비 활동이 곧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이 정책은 단순히 청소년 개인의 소비 습관 개선에 그치지 않고, 교육·경제·지역사회가 함께 연계되는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청소년이 정책의 수혜자이자 주체로 참여할 때, 지역경제 활성화와 책임 있는 소비 문화 형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 청소년이 합리적이고 책임 있는 소비습관을 가진 지역사회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다.


공감0
공감합니다.
현재 0명이 제안에 공감중입니다.
로그인 후 같이 공감해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상단으로
 
광주광역시 청소년1번가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학생독립로 37 광주광역시청소년수련원 D동 1층
전화번호 062)234-0755~6 팩스 062)443-0758 이메일 gjcenter@hanmail.net

COPYRIGHT © 2025 Gwangju Youth 1st Avenue you1st.kr, GWANGJU YOUTH SERVICE CENTER, ALL RIGHTS RESERVED.